서울시, ‘민생경제·취약층 지원’에 추경 1.5조원 투입

조정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7 16:03:49
  • -
  • +
  • 인쇄

[하비엔뉴스 = 조정현 기자] 서울시가 올해 민생경제 회복과 취약계층 지원, 노후시설 재투자 및 전동차 증차 등에 추가경정예산을 투입한다. 

 

27일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1조5110억원 규모의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27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김태균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이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는 이날 기자설명회를 통해 “민생경제 회복과 안전하고 매력적인 도시 조성을 핵심으로 하는 1조5110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편성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추경안의 핵심은 민생경제 대책 마련과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강화다. 여기에 필수 도시 기반시설의 안전 유지와 도시경쟁력 향상을 위해 적극 투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추경안 예산 1조5110억원 가운데 실제 집행예산은 8009억원이고, 자치구 교부금 1416억원, 서울시교육청 교부금 873억원, 나머지는 회계간 전출액(3383억원)이다.

 

추경안 재원은 세계잉여금, 영등포 로터리 구조개선이나 남산 혼잡통행료 징수 인건비 등 올해 다 쓰이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사업의 예산이 반영됐다.

 

세부 내용별로는 민생경제·동행 분야에 3682억원이 편성돼 지역경제 활성화(소상공인·중소기업)와 시민 생활 지원 확대, 취약계층 보호 강화 등에 사용된다.

 

또 중소기업, 소상공인, 청년 등 지원에 1051억원이 투입돼 청년안심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주택 선매입(680억원)과 소상공인 금융지원(114억원),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이 평일로 바뀌는 데 따른 지역상권 지원(18억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외 지역 상품권인 서울 광역사랑상품권 발행액을 500억원에서 1500억원으로 늘리기 위한 예산 57억원이 포함됐고, 기후동행카드 등 시민 생활 지원에는 1157억원이 편성됐다.

 

서울여성플라자를 리모델링해 공공예식장으로 꾸미는 사업에는 22억원, 35세 이상 임산부에게 최대 50만원의 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에는 80억원, 심야 자율주행버스 운행에 11억원, 정·난관 복원 시술비 1인당 최대 100만원 지원에 1억원이 투입된다.

 

취약계층 보호 강화에는 1474억원이 지원된다. 세부적으로는 중위소득 60% 이하 청년에게 주거비를 월 20만원씩 최대 1년간 지원하는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280억원, 시립 공공병원의 경영난에 따른 재정지원 456억원(서울의료원 268억원, 보라매병원 188억원),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 94억원, 경로당 중식 제공 확대 48억원 등이다.

 

1137억원이 투입되는 안전 분야는 지하철 4·7·9호선에 전동차 62칸을 새로 투입해 혼잡도를 완화하는 데 178억원, 지하철 1∼4호선 노후시설 재투자 206억원, 파손이나 결함으로 성능이 저하된 하수관로 정비에 347억원,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 작업 29억원, 맨홀에 추락방시시설을 추가 설치하는 사업 50억원 등이다.

 

서울시는 또 ‘글로벌 톱5’ 도시 실현을 위한 도시공간 혁신과 문화시설 확충 등 인프라 혁신을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에도 773억원을 편성했고, 시내버스와 지하철, 경전철 재정지원에 897억원을 반영했다.

 

김태균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서울시 추경은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빠르게 시행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서민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6월 시의회에서 의결되면 신속히 집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추경안은 시의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저작권자ⓒ 하비엔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